활동보고서 상세
활동보고서 상세
![]() |
국가 | 인도네시아 | 보고일 | 2025. 01. 13 |
---|---|---|---|---|
구분 | 정기 | 월 | 2025년 01월 | |
보고자 | 박상천 | 이메일 | scpark@top-bridge.com | |
제목 | 2025년 1월 정기보고 |
유류 가격 동향
조사일 | 회사명 | 가격 | 유종 | 기타 |
---|---|---|---|---|
2025. 01. 03 | pertamina | Rp 15.800 ($0.99) per liter | 디젤유 (MDF) |
해양·수산업 동향
[인도네시아 호주간 불법어업 근절협력]
2019년부터 해양수산자원감시국(PSDKP)은 독자적인 자금지원과 여러기관의 협력을 통해 어부들이 관련법규를 준수할수있도록 예방조치를 계속해왔다. 그러나 2024년 호주정부에 의해 체포된 인도네시아인이 216명에 달하였다. 현재 MOU 박스 구역에서 인도네시아 어부들에게 허용된 어업권은 한정적이다. 엔진미장착 돛단배만 사용해야하며 수중에 서식하는 물고기만 잡을수있고 해저생물 채취는 금지되어있다.
이에 2024년 12월 10일부터 14일까지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와 호주수산관리청이 협력하여 호주해역에서 조업하는 동남술라웨이 어부들을 교육하였다. 또한 두나라는 현재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을 논의중이다.
1. 합동순찰: 기상악화와 위험한 해상환경 경고/ 체포시 선박과 어획물 몰수 및 벌금과 징역
2. 대중정보 캠페인: 행사를 통해 불법어업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
3. 대체생계지원: 호주어선에서의 취업비자 재공 검토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홍보팀
[인도네시아와 동남아 10개국 *IUU어업 근절을 위한 협력강화 회의 개최]
* IUU: 동남아시아지역에서 불법이나 보고되지않거나 규제되지않은 어업
현재 회원국은 호주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지아 파푸아뉴기니 싱가포르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으로 구성되어있고 인도네시아는 사무국역할을 맡고있다.
이번 협력의 중요한 요소는 회원국간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 구축이다.
이번회의에서 공유할 데이터의 주요항목은 아래와 같다.
1. 보호/규제된 어종 2. 규제정보 3. 어업관리계획 및 시장목표
4. IUU 어선명단 5. 국경을 넘는 선박 이동정보 6. 선박세부사항 및 라이센스 정보
이번 협력을 통해 11개국은 공동의 노력을 통해 불법어업이 없는 청정어업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어업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장기적인 발전을 추구할것이다.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자원관리총괄국 공보실
[인도네시아 2024년 양식업생산 13.6% 증가]
2024년 인도네시아 양식업 분야는 지난해 대비 13.64% 증가했으며 특히수출품목인 새우, 해조류, 염수 틸라피아 등의 생산이 크게 늘었다. 생산량 증가와 함께 어업인들의 평균소득도 상승하여 최저임금을 웃도는 수준이다.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의 블루이코노미 프로그램은 생태적 가치를 우선시하며 주요수출품목에 대한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보고있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주요수출품목 외에도 파푸아 비악에서 진행될 참치양식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참치자원의 보호와 양식품질 향상을 통해 인도네시아 참치수출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것이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세계 참치 생산량의 18%를 차지하고있다.
이같은 성과는 현대적 양식업마을 (KPB) 프로그램 덕분이다. 이 프로그램은 210개의 양식업 마을을 대상으로 고급기술과 전문관리방식을 도입하여 독립적인 양식업지역을 만드는 목표를 가지고있다. 이에 인도네시아해양수산부는 품질좋은 어류종자 및 해조류 종자, 양식시설 지원 등 다양한 정부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양식업국 공보실
[인도네시아 68개국 대표단에 고품질 수산물 선보이다]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는 지난 12월 10일 국제행사 Indonesia Marine and Fishery Business Forum (IMBF)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인도네시아의 품질보증시스템과 고품질의 수출수산물을 국제사회에 선보이는 자리였다.
이 행사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 유럽연합, 미국 식품의약국 대표단과 함께 미국, 영국, 일본 등 약 68개국 대표들과 수산물 수출업체를 포함한 많은기업들이 참여하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산물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모든과정에서 품질관리를 강화하기위해 지속적으로 감시, 점검, 샘플링, 인증등을 수행할것이라고 전했다.
또 이번 행사를 통해 해외투자자들에게 해양 및 수산업 분야에 투자할 기회도 제공되었다. 해양 양식업이 앞으로 인도네시아 수산물 생산의 핵심분야가 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현재 인도네시아 수산물은 전세계 133개국으로 수출되고있다.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공식 홈페이지
2019년부터 해양수산자원감시국(PSDKP)은 독자적인 자금지원과 여러기관의 협력을 통해 어부들이 관련법규를 준수할수있도록 예방조치를 계속해왔다. 그러나 2024년 호주정부에 의해 체포된 인도네시아인이 216명에 달하였다. 현재 MOU 박스 구역에서 인도네시아 어부들에게 허용된 어업권은 한정적이다. 엔진미장착 돛단배만 사용해야하며 수중에 서식하는 물고기만 잡을수있고 해저생물 채취는 금지되어있다.
이에 2024년 12월 10일부터 14일까지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와 호주수산관리청이 협력하여 호주해역에서 조업하는 동남술라웨이 어부들을 교육하였다. 또한 두나라는 현재 세가지 협력 프로그램을 논의중이다.
1. 합동순찰: 기상악화와 위험한 해상환경 경고/ 체포시 선박과 어획물 몰수 및 벌금과 징역
2. 대중정보 캠페인: 행사를 통해 불법어업의 위험성에 대해 설명
3. 대체생계지원: 호주어선에서의 취업비자 재공 검토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홍보팀
[인도네시아와 동남아 10개국 *IUU어업 근절을 위한 협력강화 회의 개최]
* IUU: 동남아시아지역에서 불법이나 보고되지않거나 규제되지않은 어업
현재 회원국은 호주 브루나이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말레이지아 파푸아뉴기니 싱가포르 태국 동티모르 베트남으로 구성되어있고 인도네시아는 사무국역할을 맡고있다.
이번 협력의 중요한 요소는 회원국간 데이터 공유 메커니즘 구축이다.
이번회의에서 공유할 데이터의 주요항목은 아래와 같다.
1. 보호/규제된 어종 2. 규제정보 3. 어업관리계획 및 시장목표
4. IUU 어선명단 5. 국경을 넘는 선박 이동정보 6. 선박세부사항 및 라이센스 정보
이번 협력을 통해 11개국은 공동의 노력을 통해 불법어업이 없는 청정어업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어업자원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장기적인 발전을 추구할것이다.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자원관리총괄국 공보실
[인도네시아 2024년 양식업생산 13.6% 증가]
2024년 인도네시아 양식업 분야는 지난해 대비 13.64% 증가했으며 특히수출품목인 새우, 해조류, 염수 틸라피아 등의 생산이 크게 늘었다. 생산량 증가와 함께 어업인들의 평균소득도 상승하여 최저임금을 웃도는 수준이다.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의 블루이코노미 프로그램은 생태적 가치를 우선시하며 주요수출품목에 대한 모델링 프로그램을 통해 실질적인 효과를 보고있다.
또한 해양수산부는 주요수출품목 외에도 파푸아 비악에서 진행될 참치양식을 지원하고 있다. 이는 참치자원의 보호와 양식품질 향상을 통해 인도네시아 참치수출 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할것이다. 현재 인도네시아는 세계 참치 생산량의 18%를 차지하고있다.
이같은 성과는 현대적 양식업마을 (KPB) 프로그램 덕분이다. 이 프로그램은 210개의 양식업 마을을 대상으로 고급기술과 전문관리방식을 도입하여 독립적인 양식업지역을 만드는 목표를 가지고있다. 이에 인도네시아해양수산부는 품질좋은 어류종자 및 해조류 종자, 양식시설 지원 등 다양한 정부지원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양식업국 공보실
[인도네시아 68개국 대표단에 고품질 수산물 선보이다]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는 지난 12월 10일 국제행사 Indonesia Marine and Fishery Business Forum (IMBF)를 개최하였다. 이번 행사는 인도네시아의 품질보증시스템과 고품질의 수출수산물을 국제사회에 선보이는 자리였다.
이 행사에는 유엔식량농업기구, 유럽연합, 미국 식품의약국 대표단과 함께 미국, 영국, 일본 등 약 68개국 대표들과 수산물 수출업체를 포함한 많은기업들이 참여하였다.
인도네시아 정부는 수산물의 생산부터 유통까지 모든과정에서 품질관리를 강화하기위해 지속적으로 감시, 점검, 샘플링, 인증등을 수행할것이라고 전했다.
또 이번 행사를 통해 해외투자자들에게 해양 및 수산업 분야에 투자할 기회도 제공되었다. 해양 양식업이 앞으로 인도네시아 수산물 생산의 핵심분야가 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현재 인도네시아 수산물은 전세계 133개국으로 수출되고있다.
*출처: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공식 홈페이지
접수자 | 관리자 ( 2025.02.04 15:05:4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