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DA
사업개요
물자지원사업 추진 실적 지원 규모 및 실적
수산인프라지원사업 추진 현황
-
추진
배경- 해외수산자원의 지속적 이용 및 안정적 조업기반 유지·확보를 위한 연안국 지원사업 필요
-
추진
경위- 2006년부터 우리 업계가 진출해있는 연안국들을 대상으로 ODA 사업 추진
- ‘16년까지 컴퓨터, 책상 등 물자지원을 하였으나, ’17년부터는 수산관련 시설 등 인프라 지원 사업으로 전환하여 추진
-
-
사업발굴
-
상시접수
-
사업기획
-
예비조사사업 선정
(N-2년 연중 상시)
-
예비조사 실시
(N-2년 연중 ~ N-1년 1월)
-
사업심사/승인
(N-1년 3월)
-
-
-
예산심의/국회승인
(N-1년 5~12월)
-
수원국과 협의의사록 체결
(N-1년 9~12월)
-
집행계획 수립
(N년 초)
-
사업시행자 선정
(N년 상반기)
-
-
-
사업시행
-
연차점검/분기보고/모니터링
(연초/분기별/상시)
-
종료평가
(사업종료전)
-
사업종료
-
종료사업
사후관리
-
-
-
사후점검
(수시)
-
사후지원
(필요시, 사업종료 후 5-7년 내)
-
-
-
사업발굴
-
상시접수
-
-
-
사업기획
-
예비조사사업 선정
(N-2년 연중 상시)
-
예비조사 실시
(N-2년 연중 ~ N-1년 1월)
-
사업심사/승인
(N-1년 3월)
-
예산심의/국회승인
(N-1년 5~12월)
-
수원국과 협의의사록 체결
(N-1년 9~12월)
-
집행계획 수립
(N년 초)
-
사업시행자 선정
(N년 상반기)
-
-
-
사업시행
-
연차점검/분기보고/모니터링
(연초/분기별/상시)
-
종료평가
(사업종료전)
-
-
-
사업종료
-
종료사업
사후관리 -
사후점검
(수시)
-
사후지원
(필요시, 사업종료 후 5-7년 내)
-
출처: KOICA(한국국제협력단)
- 물자지원 사업은 2006년 해양수산 ODA사업을 통해 시작되어 지난 11년간 중서부 태평양 7개국과 아프리카 5개국, 남미 1개국, 국제기구 1개에 약 75억 원 규모로 실시됨
연도별 지원 실적
(단위 : 백만원)06 | 07 | 08 | 0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
---|---|---|---|---|---|---|---|---|---|---|---|
자원규모 | 246 | 333 | 400 | 400 | 491 | 286 | 979 | 1,067 | 1,100 | 1,100 | 1,100 |
수원국 | 6 | 5 | 6 | 4 | 4 | 3 | 10 | 10 | 8 | 10 | 8 |
지원품목 수 | 468 | 1,340 | 693 | 1,459 | 236 | 19 | 1,668 | 757 | 499 | 1,331 | 922 |
국가별 수산인프라지원사업 추진현황
국가 | 지원내용 | 지원연도 | 사업규모 |
---|---|---|---|
가나 |
|
2017-2019 | 26억 |
세네갈 | |||
키리바시 |
|
2020 | 4.4억 |
투발루 |
|
2020 | 3.5억 |
문의처
- 해외수산협력센터 이 은 행정관
- 전화 : 044-868-7836
- 이메일 : eunlee@kofci.org